미드를 즐겨보다가 가끔씩 자막이 늦게 나오거나 나오지 않는 경우에는 직접 만들어서 본다. 그렇다보니 자연스레 여러 자막 편집 프로그램 들을 사용해 보았는데, 그 중에서 사용법도 간단하고, 기능도 다양한 “Subtile Edit” 가 가장 마음에 들었다. 기본 기능에 충실한 국산 프로그램 “한방에” 도 간단한 자만 편집 작업을 할때는 가끔 이용한다.
보통 미드나 영화의 한글 자막을 만들거나 수정할 때는 직접 들으면서 번역하는 경우도 있지만, 이 경우는 엄청 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, 먼저 영문 자막이나 스크립트를 구한다음 그것을 바탕으로 번역을 한다. 그래야지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고, 대부분 srt 로 되어 있는 영문 자막은 이미 시간 구간과 싱크가 다 맞춰져 있기 때문에, 그냥 작업을 하거나 초간단으로 살짝 싱크 조절만 해서 맞추기만 하면 된다.
사용법
1. 서브타이틀 에디트 Subtitle Edit 다운받기 ( https://github.com/SubtitleEdit/subtitleedit/releases )
위의 주소로 가서 필요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한다. 위에는 패키지 설명이 있고, 아래에는 다운로드 링크가 있다.
– SubtitleEdit-3.4.13-Setup.zip 은 인스톨 버전
– SE3413.zip 은 설치하지 않고 사용하는 포터블 버전이다.
2. 설치 하기 : 인스톨 버전은 순서대로 설치하면 된다.
3. 영문 자막 파일 ( srt 파일 ) 찾기
위에서 언급했던 대로 아래 영문 자막 사이트에서 영문 자막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. 미드 같은 경우 방영되면 거의 실시간으로 자막이 뜬다.
5) http://www.subtitlesource.org/
4. Subtitle 사용법
1) 영문 자막 불러오기 : [File]->[Open]
다운로드 받은 영문 자막을 불러온다.
2) 동영상 파일 불러오기 : [Video]->[Open Video File]
동영상 파일을 불러 온다.
3) 영문 자막을 바탕으로 빈자막 만들기 : [Tools]->[Make New Empty Translation From Current Subtitle]
영문 자막을 바탕으로 하는 빈 자막을 만들어 주는 기능을 이용해 손쉽게 아래 처럼 자막을 쉽게 만들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. 보통 인코딩은 UTF-8으로 하면 된다.
4) 자막 번역 및 번역기 이용
아래 이미지의 1번 부분을 더블 클릭하면 원하는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. 거기서 스페이스를 누르는 것으로 동영상을 실행 및 정지 시킬 수 있다.
2번 부분에는 번역할 내용을 넣을 수 있다. 보통 한 줄에 28 자씩 넣는 것이 좋기 때문에 그것이 넘어 가면 줄을 바꾸라고 경고를 해준다. 보통 자막은 2줄로 한다.
3번 부분을 이용해서 모르는 단어들은 간편히 구글 번역기 검색을 해볼 수 있다.
여기서 유용한 단축키가 [Shift]+[Enter] 인데, 번역한 자막과 함께 동영상을 보여준다음, 다음 번역 부분으로 자동으로 넘어가는 단축키이다.
5) smi 파일로 저장하기
번역이 마무리되면 파일을 SAMI 로 저장하면 된다.
참고로 아래 사이트들에 가면 한글 자막들을 쉽게 구할 수 있다.
자막 나라 : www.jamaknara.co.kr
시네수 : http://www.cinesoo.com/
번역포럼 : https://bunyuc.com/
감사합니다~
네~^^
감사합니다! 한방에로 하다가 힘들었는데, 진짜 쉽네요 ㅠ_ㅠ!! ♡
도움이 되셨다니 기분이 좋네요.. ^^
정보 정말 유용하게 봤어요!감사드립니다!하지만 작은 문제가 좀 생겼는데..
혹시 싱크가 안 맞으면 어떻게 하나요ㅜㅠ?
그리고 글꼴을 바꾸는 것도 가능한가요?
감사해요 덕분에 유용하게 썼네요 !! 굿굿